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치

트럼프, 8월 1일부터 한국 등 14개국에 최대 25% 관세 부과 예고

목화신문 기자 입력 2025.07.08 10:31 수정 2025.07.08 10:31

한미 통상 마찰 우려… 한국 정부, 협상 대응 나서

[사진출처: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월 1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14개국에 대해 최대 2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한국과 미국 간 통상 마찰이 재점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월 7일(현지시간) 백악관 발표를 통해 “한국, 일본, 태국, 라오스 등 14개국의 수입품에 대해 25% 이상의 관세를 부과한다”며 “이는 미국을 향한 무역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당초 해당 조치는 7월 9일부로 발효될 예정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발효 시점을 8월 1일로 연기했다. 이에 따라 약 3주의 협상 유예 기간이 주어진 셈이다. 미국은 이 기간 동안 대상국들이 관세 철폐, 수입쿼터 조정 등 ‘상호적 조치’를 제시할 경우, 일부 관세 조정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방이라도 미국을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대하는 국가는 상응하는 조치를 받아야 한다”며, 이번 조치가 단순한 보복이 아닌 ‘공정한 무역질서 회복’ 차원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은 미국의 관세 대상 국가 중 하나로, 대미 무역 흑자가 2024년 약 556억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철강, 자동차 등 대미 수출이 많은 업종을 중심으로 국내 산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트럼프의 관세 발표 직후 뉴욕 증시는 하락세를 보였으며, 한국 코스피 지수도 8일 장 초반 하락세로 출발했다. 무역 관련 불확실성 증대로 글로벌 시장의 불안정성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국 정부는 즉각 대응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워싱턴 주재 대사관 및 통상 협력 채널을 통해 미국 측과 협의 중이며, 고위급 협상단 파견도 검토 중이다. 정부 관계자는 “남은 유예 기간 동안 미국과의 실무 접촉을 강화해 실질적인 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정부는 사태의 장기화와 감정적 대응을 경계하며, 국제 통상 규범에 기반한 냉정한 대응을 예고했다.

한편 미국의 이번 관세 조치 대상국에는 한국 외에도 일본, 말레이시아, 세르비아, 카자흐스탄, 미얀마 등 아시아·동유럽 국가들이 다수 포함됐다. 일부 국가에는 40%에 달하는 고율 관세가 예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을 단순한 무역 분쟁이 아닌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의 일환으로 보고 있으며, “기업과 정부 모두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저작권자 목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