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화신문, 최지훈기자] 최근 원·달러 환율이 가파르게 오르며 1,370원을 돌파하는 등 달러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환율 변동은 한국 경제에 양면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출기업에게는 채산성 개선이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 수입 기업과 소비자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하며 물가 불안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수출기업에 유리한 환율 흐름
달러 대비 원화 약세는 국내 수출기업의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특히 반도체, 조선, 자동차 등 달러 기준으로 거래되는 산업군은 동일한 제품을 수출하더라도 원화로 환산했을 때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무역협회는 최근 보고서에서 “원·달러 환율 10원 상승 시 수출 중소기업의 영업이익률이 평균 0.3%p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글로벌 수요 둔화 국면에서도 환율 변화가 수출 회복을 견인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수입물가 상승으로 소비자·내수기업 부담 가중
반면, 에너지·원자재 수입 의존도가 높은 산업군은 직격탄을 맞고 있다. 특히 석유, LNG, 식품 원자재 등 대부분 달러로 거래되는 수입 품목의 가격이 상승하며 국내 물가에도 부담을 주고 있다. 이에 따라 중소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는 원가 상승 압력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로 인한 소비자 가격 전가 우려도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 3월 발표한 자료에서 “환율 상승은 단기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CPI)에 0.2~0.4%포인트의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다”며, 환율이 물가 상승을 가속화할 가능성을 경고한 바 있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대응 기조
정부는 환율 급등에 따른 시장 불안 심리를 차단하기 위해 외환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으며, 필요시 시장 안정 조치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환율 흐름과 수입물가의 연동성을 면밀히 분석 중”이라며, 환율로 인한 물가 압력 확대 시 추가 대응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전문가들 “수출 회복과 물가 불안, 균형 잡힌 정책 필요”
전문가들은 이번 환율 상승 국면이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발생한 일시적 현상인지, 장기화될 구조적 요인인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또한, 단순히 수출 증가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내수 경기 둔화와 물가 안정이라는 변수를 동시에 고려한 균형 있는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종합하면, 달러 강세는 한국 수출 산업에 긍정적인 바람을 불어넣고 있지만, 수입 의존 경제 구조와 고물가 국면에서는 신중한 대응이 필요한 복합적인 이슈다. 정부와 기업, 소비자 모두가 환율의 명암을 정확히 인식하고 장단기 전략을 세워야 할 시점이다.